네이버 밴드글 (2024-06-15)
페이지 정보
작성자 주지 성관스님 작성일2024.06.15 조회762회 댓글0건본문
신원사 고양이
노곤한 어느 봄날 아침에 우리절에 사는 고양이 한마리가 이쁜 다람쥐를 물고 유유히 도량을 거닐고 있는 것을 보고는 한 스님이 작은 돌맹이를 주어서 고양이를 쫓아봅니다.
그렇다고 절고양이니까 풀 뜯어 먹으라고 할 수도 없는 일입니다.
씀바퀴하고 민들레가 몸에 더 좋고, 육식만하면 몸에 좋지 않고 콜레스테롤이 높아지니 채식이 고지혈증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고양이에게 권할 수도 없는 일이 아닙니까?
그 고양이가 물고 가는 놈이 귀여운 다람쥐가 아니고, 징그럽게 생긴 시커먼 쥐 한 마리라면 마음이 어땠을까요?
어쨌든 우리의 분별망상은 그 놈들을 좋은 놈, 나쁜 놈, 귀여운 놈, 천한 놈, 이쁜 놈, 미운 놈으로 차별해서 대합니다. 돌팔매질에 놀란 그 고양이의 입장에서는 사람들이 더 잔인하고 이해할 수 없는 나쁜 놈이 아닐까요.
고양이는 고양이대로 다람쥐는 다람쥐대로 사람은 사람대로 각자의 입장 즉 업식에 의해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삶이 바로 자신의 업식(業識)에 의해서 보이고 느끼는 대로 살아가는 업보중생의 삶이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늘 분별해서 좋고 나쁜 것과 옳고 그른 것을 나누고 이익되고 손해되는 것을 취하고 버리는 것으로 삶을 꾸려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남들보다 재빠르게 한 쪽을 택하고 그것을 쫓아 애써 구하는 것이 잘사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차별되어 드러나 보이는 눈 앞의 모든 대상의 경계는 나의 경험으로 인식되어진 모습들이 투영되어 나타나 보인 것입니다.
진실한 실체로서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헛개비를 쫓아 일생을 허비하며 구하고 구해도 허덕이는 갈증은 더 해갑니다. 그러므로 밖을 향해 구한 것은 진실한 것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참으로 행복할 수 있는 길은 무엇인가하는 것을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중생의 온갖 분별 망상으로 취사간택하기에 모든 고통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 분별하려는 생각이 일어나기 전..
본래 아무일 없는 참마음 이 진실에 계합해야 비로소 우리의 고통에서 해탈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 방법이요?
"내마음 관세음
날마다 좋은날"
오늘도 복된날 가득하시길 축원드립니다.
벽수선원 앞마당 잔디에 퍼득이는 새끼 참새를 발견합니다. 고양이에게 물려갈까봐 얼른 데리고 들어오긴 했는데...
노곤한 어느 봄날 아침에 우리절에 사는 고양이 한마리가 이쁜 다람쥐를 물고 유유히 도량을 거닐고 있는 것을 보고는 한 스님이 작은 돌맹이를 주어서 고양이를 쫓아봅니다.
그렇다고 절고양이니까 풀 뜯어 먹으라고 할 수도 없는 일입니다.
씀바퀴하고 민들레가 몸에 더 좋고, 육식만하면 몸에 좋지 않고 콜레스테롤이 높아지니 채식이 고지혈증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고양이에게 권할 수도 없는 일이 아닙니까?
그 고양이가 물고 가는 놈이 귀여운 다람쥐가 아니고, 징그럽게 생긴 시커먼 쥐 한 마리라면 마음이 어땠을까요?
어쨌든 우리의 분별망상은 그 놈들을 좋은 놈, 나쁜 놈, 귀여운 놈, 천한 놈, 이쁜 놈, 미운 놈으로 차별해서 대합니다. 돌팔매질에 놀란 그 고양이의 입장에서는 사람들이 더 잔인하고 이해할 수 없는 나쁜 놈이 아닐까요.
고양이는 고양이대로 다람쥐는 다람쥐대로 사람은 사람대로 각자의 입장 즉 업식에 의해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삶이 바로 자신의 업식(業識)에 의해서 보이고 느끼는 대로 살아가는 업보중생의 삶이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늘 분별해서 좋고 나쁜 것과 옳고 그른 것을 나누고 이익되고 손해되는 것을 취하고 버리는 것으로 삶을 꾸려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남들보다 재빠르게 한 쪽을 택하고 그것을 쫓아 애써 구하는 것이 잘사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차별되어 드러나 보이는 눈 앞의 모든 대상의 경계는 나의 경험으로 인식되어진 모습들이 투영되어 나타나 보인 것입니다.
진실한 실체로서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헛개비를 쫓아 일생을 허비하며 구하고 구해도 허덕이는 갈증은 더 해갑니다. 그러므로 밖을 향해 구한 것은 진실한 것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참으로 행복할 수 있는 길은 무엇인가하는 것을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중생의 온갖 분별 망상으로 취사간택하기에 모든 고통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 분별하려는 생각이 일어나기 전..
본래 아무일 없는 참마음 이 진실에 계합해야 비로소 우리의 고통에서 해탈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 방법이요?
"내마음 관세음
날마다 좋은날"
오늘도 복된날 가득하시길 축원드립니다.
벽수선원 앞마당 잔디에 퍼득이는 새끼 참새를 발견합니다. 고양이에게 물려갈까봐 얼른 데리고 들어오긴 했는데...
